🐳 문제 typeORM이 0.3 버전을 출시하면서 기존에 레포지터리에 의존성을 주입 해주던 @InjectRepository() 데코레이터가 사라지게 됐다. 그래서 TypeORM 0.3 버전에서는 어떻게 레포지터리 패턴을 사용하는지 TypeORM 공식 문서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아래는 TypeORM 공식문서에서 발췌한 Repository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import { User } from "./entity/User" const userRepository = dataSource.getRepository(User) const user = await userRepository.findOneBy({ id: 1, }) user.name = "Umed" await userRepository.save(u..
🐳 Repository 란 ? 먼저 Repository의 구현에 앞서 Repository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Repository is just like EntityManager but its operations are limited to a concrete entity. You can access the repository via EntityManager. 위의 글은 TypeORM 공식 문서의 Repository 설명이다. 즉 Repository는 구체적인 Entity에 대한 EntityManager이다. 그렇다면 EntityManager는 무엇일까 ? Using EntityManager you can manage (insert, update, delete, load, etc.) any entity. ..
[Nest.js] Layerd Architecture ( 계층화 구조 ) 는 무엇이고 왜 사용할까? [Nest.js] Layerd Architecture ( 계층화 구조 ) 는 무엇이고 왜 사용할까? Nest.js의 동작 구조 [Nest.js] Nest.js의 동작 구조 🐳 왜 Nest.js의 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뭐든지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그 기술들이 왜 나오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동작하는지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 programmer-hoo.tistory.com 🐳 왜 Nest.js의 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뭐든지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그 기술들이 왜 나오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동작하는지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나 Nest.js는 다른 node.js 프레임워크에는 없는 Architecture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