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Node.js

[ExpressJS] Javascript로 Enum 사용하기 - 오픈카톡방 공유 후기

🐳 배경 현재 제가 맡은 프로젝트는 Express와 ORM 없이 쌩 Query를 사용 중입니다! 그리고 enum을 사용하지 않고 common_code를 사용해 DATABASE에 code값과 code_name을 저장해 사용 중입니다. 가령 OC0001 = '위원회' 이런 식입니다. 이 점 참고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누군가 작성한 아래와 같은 코드를 보자! let query = `SELECT * FROM STUDENT WHERE STUDENT_TYPE = 'SC0001' ` 무슨 말인지 이해가 가십니까...? 이 쿼리문이 무엇을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인지는 SC0001 code 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DB에 들어가 common_code에서 값을 읽어야지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중에 이 ..

Node.js/Nest.js

[Nest.js] 게시판 만들기 토이프로젝트 2일차 회고

[Nest.js] 게시판 만들기 토이프로젝트 1일차 ( ERD 그리기 ) [Nest.js] 게시판 만들기 토이프로젝트 1일차 ( ERD 그리기 ) 🐳 시작 계기 및 목표 유튜부 채널 '널널한 개발자' 채널을 보던 도중 "신입 백엔드 개발자 업무역량에 관한 기준은 이정도입니다!" 영상을 보고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에 도전해 보기로 했다 ! programmer-hoo.tistory.com 🐳 2일차 회고 📌 Done 공식 문서를 참고해 Repository 구현하기 bycrypt를 사용해 password를 Hash화 하여 저장 jwt 토큰 구현 ( payload 에는 username을 넣어 사용 ) 📌 후기 이번에는 게시글 / 댓글 / 좋아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어 보았다. 처음 운동기록..

개발자 일상

[오류] zsh: command not found: node 해결방법

🎯 상황 환경 iTerm2 / zsh / oh-my-zsh homebrew를 통해 node@18 설치 / brew install node@18 분명 설치를 했는데 zsh: command not found: node 에러가 발생했다. 구글링을 통해 여러 가지 방법을 도전해 봤으나 다 실패 ... 심지어 which node를 통해 node의 위치를 찾아보려고 했으나 그마저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떴다 ! 마지막으로 아래 명령어를 수행해 보라는 블로그 글을 찾았다 ... brew link --overwrite node@18 그랬더니 ! 짜잔 !! 드디어 해결 !!! 환경설정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 됐으면 좋겠습니다 !

Node.js/Nest.js

[Nest.js] Nest.js의 특징과 철학

1. Nest.js란? Nest.js는 Node.js의 프레임워크로 Express.js와 fastify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 유사한 부분이 많다. ( 특히 Express.js와 ) 그리고 Typescript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Server-Side-Application을 만드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정 언어나 프레임워크를 이해할 때 강점을 잘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왜?" 생겨났는지를 잘 알아야 그 언어나 프레임워크를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Nest.js 공식 홈페이지의 Nest.js의 철학이다. 2. Nest.js의 철학 즉 Nest.js는 다른 언어들의 효율적인 면들을 그대로 가져오면서 테스팅 가능하며, 확장이 용이하고, 결합도가 적고, 유지 보수가 쉬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

후뿡이
'nodejs'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