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js] Layerd Architecture ( 계층화 구조 ) 는 무엇이고 왜 사용할까? [Nest.js] Layerd Architecture ( 계층화 구조 ) 는 무엇이고 왜 사용할까? Nest.js의 동작 구조 [Nest.js] Nest.js의 동작 구조 🐳 왜 Nest.js의 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뭐든지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그 기술들이 왜 나오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동작하는지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 programmer-hoo.tistory.com 🐳 왜 Nest.js의 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뭐든지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그 기술들이 왜 나오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동작하는지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나 Nest.js는 다른 node.js 프레임워크에는 없는 Architecture 문..
Nest.js에서는 기본적으로 Jest를 이용한 Unit Testing과 e2e Testing을 지원한다. 기본으로 지원하는 기능을 통해 오늘부터 운동 기록 서비스의 TestCode 작성기 시작합니다 !! 🐳 첫 코드 - 실패 Nest.js의 공식 홈페이지와 Jest의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가장 먼저 운동기록 테이블의 service 레이어를 테스트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import { DataSource } from "typeorm"; import { RecordsRepository } from "./records.repository"; import { RecordsService } from "./records.service"; import { Record } from "./entity/record..
Nest.js를 처음 공부해 보는 사람은 Entity와 DTO의 차이가 생소할 수 있다. 오늘은 DTO와 Entity의 차이점을 예시와 함께 알아보자 🎯 Entity와 DTO의 코드 먼저 아래의 Exercise Entity와 Exercise DTO 코드를 함께 살펴보자 // Exercise Entity Code @Entity() @Unique(['name']) export class Exercise extends BaseEntity { @PrimaryGeneratedColumn('increment') id:number @Column() name:string; // Entity에서는 string 타입으로 정의 했다 !! // 이 부분을 유의해서 보자 ! @Column() tool:string; @Colu..
✅ 문제 - [백준] 문자열 폭발 (9935번) ✅ 처음 풀이 코드 - 시간초과import syssentence = sys.stdin.readline().rstrip()bomb = sys.stdin.readline().rstrip()while True: tmp = sentence.replace(bomb,"") if tmp == sentence: break sentence = tmpif len(sentence) == 0: print("FRULA")else: print(sentence)bomb이 있는 경우 replace 하고replace한 결과 tmp가 sentence랑 같은 경우 반복문을 멈춘다 ❌ 문제점 이런식으로 풀면 replace 메소드가 문자열의 처음부터 끝..
SSAFY 코딩테스트와 정보처리기사 시험 후에 드디어 프로젝트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생겼다. Nest.js를 처음 접하게 돼 "왜?" Nest.js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떤 구조를 가졌는지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그리고 처음 ERD를 그려가며 DB 구조도 설계해 보았는데 마찬가지로 만만치 않은 작업이었다. Table을 나누는 경우 어떤 이득이 있고 어떤 손해가 있는지. 그리고 이게 어떤 정규화인지 생각해 가며 DB구조를 설계하려고 하니 처음 해보는 입장에서는 너무 신경 쓸게 많았고 계속 바꿔야 할 사항이 많았다. 그리고 이제 열심히 구현해보려고 하는 찰나... 맥북이 고장나다니 ... 수리가 일주일이나 걸린다니... 그래도 여자친구에게 빨리 다른 맥북빌려서 2시간 동안 환경설정 후 바로 작업..